애드센스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낙장도메인이라는 단어를 한 번 쯤은 들어봤을거야.
티스토리는 다음에 잘 노출 되기 때문에 초기유입을 쉽게 만들 수 있지만,
워드프레스 같은 경우, 기반이 없기 때문에 내 글을 노출하는데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거든,
이때 좋은 낙장도메인을 구하면 검색엔진에 노출을 쉽게 할 수 있어.
그럼 낙장도메인이 뭔지, 어떤게 좋은 낙장 도메인인지 찾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볼게.
혹시 2차도메인에 대해서 아직 모르는 사람이 있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길 바래.
낙장도메인이란?
도메인을 돈을 주고 사서 운영을 하고 유지를 하다가 도메인 연장기간이 되었는데 연장을 하지 않으면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여기서 낙장도메인은 도메인 연장을 하지 않아서 도메인을 소유한 사람이 없게된 도메인을 뜻해.
낙장도메인을 찾는 이유는 이미 사용하던 도메인에 양질의 콘텐츠가 있고,
구글이나 네이버 등 검색엔진에 색인이 잘 되어있을 경우,
그 도메인을 사용하면 검색엔진에 노출이 잘 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초기유입이 없는 사이트가 한 방에 노출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거지.
하지만 무조건 좋다고 할 수는 없어.
만약에 구매한 낙장도메인이 스팸성 사이트, 사행성 사이트, 기타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한 사이트와 연관이 되어있으면,
내가 아무리 좋은 글을 쓴다고 해도 검색엔진에서 노출이 안될거야.
그리고 낙장도메인은 신규도메인보다 등록비용이 비싼 편이라. 확인하지 않고 좋아보이는 단어가 들어간 도메인을 살 경우, 시간과 돈 모두 잃을 수 있거든.
그래도 좋은 낙장도메인을 찾는다면, 검색엔진에도 잘 노출되고, 수익도 좋아질 수 있을거야.
그럼 어떻게 찾아야하는지 확인해보자.
여기서 잠깐!! 낙장도메인 말고 일반 도메인을 구매하고 싶을 때 도움되는 글도 읽어봐.
국내외 도메인 구매 등록 사이트 정리 (feat.2차 도메인)
낙장도메인 검색 및 구매
가비아 도메인 예약
가비아에서 도메인 예약이라는 메뉴를 본적이 있을거야.
가비아에서 제공해주는 도메인 예약 기능은, 도메인 비용을 더 이상 내지 않아서 삭제만료가 다가오는 도메인을 정리해서 볼 수 있지.
전체 리스트 다운로드를 통해서 내가 좋다고 생각하는 도메인 주소에 근접한 도메인들을 쉽게 찾을 수 있어.
낙장도메인 검색 사이트
개인이 운영하는 사이트인데, 어떤 원리로 낙장도메인을 가져오는지는 모르겠지만 간단하게 국내와 해외 낙장도메인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사이트야. 따로 프로그램도 존재하는 거 같은데, 사용은 해보지 않아서 모르겠어.
해당 사이트에 관련되어 링크는 남겨 줄게.
고대디 경매
고대디 경매를 낙장사이트 찾는 용도라고 볼 수 있을지 아닐지는 모르겠지만.
경매를 통해서 좋은 도메인을 얻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소개해보려고 해,
신규등록 도메인보다 훨씬 비싼 가격이지만, 그만큼 좋은 도메인을 구한다면 나중에 되팔수도 있고 해서 넣어봤어.
나도 경매를 해보지는 않아서 모르겠지만,
우연히 외국 낙장도메인을 고대디에서 구매했다가 엄청난 금액을 받고 팔았다는 얘기를 본 적이 있으니,
심심하면 구경해보는 것도 좋을거 같아.
좋은 낙장도메인 찾는 방법
1. 구글 및 네이버 색인 내용 확인
마음에 드는 도메인을 발견했다면 우선 구글과 네이버에 색인이 되어있는지 체크해보는거야.
색인이 되었는지 찾는 방법은 구글 이나 네이버 검색창에 site:https://찾고싶은도메인URL 을 이력하면
색인이 되었는지 확인 해볼 수 있어.
예시로 구글과 네이버에 site:x.com을 검색해서 해당 사이트가 보인다면 색인이 되었다고 판단하는 거지.
색인이 없다면 검색 결과에 해당 사이트가 나오지 않으니 참고하길 바래
2. 도메인 지수(DA) 체크
색인이 잘되어있는 낙장도메인을 찾았다면 이제 도메인 지수를 확인해볼 거야.
도메인 지수는 무료로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 Domain Authority Checker – DA Checker
에서 확인할 수 있어.
접속 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보이는데
내가 찾고 싶은 도메인 URL을 입력하고 로봇 체크 Check Authority를 하면 도메인 지수를 확인 할 수 있어.
일론 머스크 형이 최근에 트위터를 X로 바꾸면서 x.com 이 궁금해서 도메인 지수를 확인해봤어.
DA ,PA 가 엄청 높은걸 볼 수 있지, SS는 50%로 안 좋아보이긴 하지만.
알수없는 약자들이 엄청 많은데, 우리가 신경써서 봐야할 건 DA, PA, SS 부분이야.
DA는 Domain Authority의 약자로 , 도메인 지수를 이야기해, 보통 트래픽이 많고 오래된 도메인들이 점수가 높아.
PA는 Page Authority의 약자로, 페이지 지수를 말하는데 해당 도메인의 page들이 검색엔진에 오랜기간 색인이 되었다는걸 알려주는 점수라고 생각하면 되는거야.
SS는 Spam Score의 약자로, 해당 도메인이 관리가 안되고 스팸성으로 여겨진다면 점수가 높아.
보통 DA, PA 점수가 10 이상이고 SS 점수가 거의 없다면 좋은 사이트라고 판단되는거지.
3. 도메인 과거 이력 확인
색인도 잘 되어있고 도메인 지수가 좋은 낙장도메인을 찾았다면,
이제 그 도메인이 과거에 무슨 용도로 사용했는지 확인을 해볼거야.
과거 해당 도메인 홈페이지 스크린샷을 기록으로 남겨두는 사이트를 이용하면 되는데,
archive.org라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waybackmachine기능으로 무료로 확인 할수 있어.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페이지가 보일텐데, 검색창에 내가 찾고 싶은 도메인URL을 입력하면 끝이야.
검색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연도별, 월별, 일별 과거 스크린샷을 확인 할 수 있어.
이번에도 나는 x.com 으로 조회 해봤는데 엄청나게 많이 있네.
보통은 저렇게 까지 많지는 않고, 엄청 과거로 내려가야 볼 수 있는 경우도 있어.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니 본인이 판단해서 괜찮아 보이면 본인이 원하는 도메인 목록에 넣어둬.
4. 백링크 확인 및 사기사이트 신고이력 확인
백링크 확인
모든 조건이 다 만족 시켰다면 마지막으로 백링크와 사기사이트 신고이력을 확인 해 볼거야.
우선 백링크는 사이트에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걸 말하는데, 우리가 찾은 도메인이 불법사이트나 유해사이트에 백링크가 연결되었다면, 조심해야겠지.
무료로 백링크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arefs.com에서 제공하는 Backlink Checker 기능을 사용할거야.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내가 찾고 싶은 도메인 URL 을 치면 친절하게 백링크 수와 걸린 사이트 수가 나오니까 확인할 수 있어. 나는 예시로 x.com을 넣어봤어.
사기사이트 이력 조회
다음은 사기사이트 이력 조회를 해볼 거야.
일반적인 사이트는 상관없지만 쇼핑몰 등 물건을 파는 사이트였으면 사기사이트 이력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어.
쇼핑몰로 사용되었는지는 아까 도메인 과거 이력에서 확인 해볼 수 있겠지.
실제로 돈을 받고 사이트를 닫아버리거나, 돈만 받고 물건을 보내지 않는 행위를 한 사이트는 사기 사이트로 신고되어 있을 거니까.
꼭 확인이 필요한거야.
사기사이트 신고이력은 확인은 SCAMADVISER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해.
내가 찾고 싶은 도메인URL을 입력하면 사용자 리뷰가 나오는데 신고된 리뷰도 존재 할 수 있으니.
잘 보고 판단해야해.
결론
낙장도메인 찾는게 간단해 보이지만 많은 작업이 필요하고, 원하는 도메인을 찾기 쉽지 않아.
무조건 낙장도메인은 좋으니 사야한다!! 라는 글이 아니고, 본인이 판단해서 좋은 도메인을 찾는 방법을 알려주는거니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나도 아직 낙장도메인을 찾아보기만 하고 구매까진 해보지 않아서, 좋다 나쁘다 판단 할 수 없지만.
어느정도 내공이 쌓이면 나도 낙장도메인을 사서 운영해볼 생각이야.
만약에 낙장도메인을 산다면 사는 과정을 글로 남겨보도록 할게.
이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도었으면 좋겠다.
#낙장도메인 #낙장도메인 장점 #낙장도메인 단점 #낙장도메인 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