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적용 방법 (가비아, 호스팅케이알)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적용 방법 (가비아, 호스팅케이알)

    2023-11-02 13:20:57


    이번 포스팅은 구매한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볼거야.

    한국에서 많이들 사용하는 가비아와 호스팅케이알만 정리하는 거지만.

    다른 도메인 사이트에서 구매했어도 인터페이스만 다를 뿐 등록하는 방법은 거의 비슷하니까 걱정하지말아.

    이 글은 기본적으로 도메인을 구매했다는 가정하의 쓰는 글이기 때문에 참고하길 바라고.

    혹시라도 도메인을 구매하지 않았다면 도메인 구매 사이트 정리한 글을 읽어보길 바래.

    그리고 왜 2차 도메인이 필요한지 궁금하다면 정리한 글이 있으니 이것도 참고하길 바래.

    가비아 설정 방법

    1. 가비아 My가비아 접속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입했다면 가비아 사이트 로그인을 하면 메인 화면에 My가비아 버튼이 보일거야.

    혹시라도 가입이 되어있지 않으면 가입하고 도메인을 구매하고 다시 글을 읽어줘.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적용 방법 (가비아, 호스팅케이알)

    My가비아 화면으로 들어오면 이것저것 복잡한 말들이 많이 있는데

    우리는 DNS 관리툴을 누르면 되니까. 걱정하지말고 아래 사진 처럼 DNS 관리툴을 눌러줘.

    2. DNS 관리툴 도메인 연결

    DNS 관리툴에 들어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텐데, 처음에는 아무것도 없을 거야. 

    도메인 연결을 누르면 연결 할 수 있는 도메인들이 나오는데 우리는 티스토리를 선택하고 저장을 누르면 돼.

    간단한게  도메인 연결 설정 클릭 > 티스토리 선택 > 적용

    CNAME이 자동으로 두개 생길거야.

    CNAME   @ host.tistory.io
    CNAME   www host.tistory.io

    이제 가비아에서 설정하는 건 끝났어.

    바로 티스토리 설정으로 넘어가면 되는거야 .


    호스팅 케이알 설정 방법

    1. 호스팅 케이알 도메인 관리 

    호스팅케이알에서 도메인을 구입했다면 로그인하면 나의 서비스 > 도메인 관리를 눌러줘.

    내가 구매한 도메인이 나의 도메인 화면에 잘 보인다면 잘 들어온거야.

    내 도메인을 클릭하면 DNS 관리를 할 수 있으니 클릭하고 넘어가자.

    2. DNS 레코드 관리

    정상적으로 넘어왔다면 화면에 네임서버/DNS 탭을 선택해줘.

    그럼 아래와 같이 정보들이 많이 나올거야.

    우리는 DNS 레코드 관리에 티스토리를 넣어줄거야.

    DNS 레코드 관리에 있는 새 레코드 추가 버튼을 누르면 여러개가 나오는데 티스토리는 가장 위에 있으니

    블로그-티스토리를 선택해주면 끝이야.

    정상적으로 선택했다면 아래에 화면 처럼 보일거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DNS 레코드 관리 > 새 레코드 추가 > 블로그-티스토리 선택 > 정상결과 확인

    잘 등록 되었다면 아래 처럼 생성 될거야.

    A@IP 주소
    CNAMEwwwhost.tistory.io

    이제 호스팅케이알에서 설정해야하는건 모두 완료 했어.

    내 티스토리에 2차 도메인을 연결하면 끝이야.

    내 티스토리 도메인 연결

    개인 도메인 설정

    가비아나 호스팅케이알에서 도메인 DNS 설정을 완료 했으면 내 티스토리 관리모드로 들어와서

    블로그를 클릭해줘. 

    관리 > 블로그 화면에 들어오면 화면 중간에 개인 도메인 설정이 보일거야.

    여기에 우리가 구매한 2차 도메인을 연결해주면 되는거지.

    정상적으로 입력하면 DNS 설정 정보 확인 완료로 변해있을거야.

    보안 접속 인증서는 바로 발급 완료가 되지 않아서 조금 기다려야해.

    연결 해 놓고 다른 작업을 하거나 글을 쓰고 있으면 어느 순간 발급 완료로 바뀌어있을거야.

    모든 작업이 완료 되었어. 간단하게 끝났는데, 마지막으로 내가 구매한 도메인으로 접속해서 내 티스토리 블로그가 잘 나오는지 확인 하면 되는거지.

    혹시라도 티스토리 도메인으로 애드센스 승인 신청을 넣었거나

    구글서치콘솔이나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등록을 했다면, 2차 도메인 연결을 했으니 다시 작업을 해줘야해.

    즉, 구매한 도메인으로 애드센스 승인 신청 및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을 해줘야한다는 말이지.

    혹시라도 구글 서치 콘솔 이나 서치 어드바이저에 등록하는 방법을 모른다면 아래 링크를 남겨줄테니 확인해봐.

    결론

    수익형 블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2차 도메인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어. 처음 접해본 어려운 용어도 있고 이게 잘 되고 있는지 걱정이 될 수 있겠지만, 처음 한 번만 해보면 다음 두번, 세번은 어렵지 않을거야.

    다음에는 서브도메인에 대해서 써볼 예정이야. 

    이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래. 조급해 하지 말고 차근차근히 실력을 쌓아서 고수가 되어보자고.